It's Interview 썸네일형 리스트형 [취업컨설팅] 토론에 실패하는 6가지 유형 토론을 잘하지 못하는 이유 전영우 박사의 저서 에는 토론에 실패하는 사람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토론면접은 일반적인 토론과 다른 점이 있지만 참조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하반기 공채에 대비하기 위해 직무 유관 경험 쌓기, 인적성시험 공부하기, 자기소개서 작성스킬, 면접연습을 7~8월 중 꾸준하게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9월이 되면 시간이 부족합니다. 토론에 실패하는 사람 6가지 유형 1) 논점이 명확하지 않다. 이 얘기 하다가 저 얘기를 늘어놓는 등 중간에 삼천포로 빠지는 스타일이다. 토론뿐 아니라 회의 등 다른 사람과 대화할 때 이런 특성이 종종 나타나는 사람이다. 2) 서론을 지루하게 늘어 놓는다. 이 경우는 결론을 먼저 말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부연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3) 자기 주장에 .. 더보기 [취업컨설팅]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10가지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10가지 '명백한 약점'에 대한 질문에 대응하는 방법 면접에서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치명적인 10가지 실수를 피해야 합니다. 다음은 이에 대해 간단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자기소개와 태도, 음성, 복장 등으로 훌륭한 첫인상을 창조하라. 2. 4가지 영역(지원회사, 해당산업, 지원직무, 면접관)에 대해 철저히 준비하라. 3. 입사지원서와 자기소개서를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하라. 4. 주요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통해 회사에 대한 당신의 적합성을 보여줘라. 5. 수많은 연습으로 면접을 날카롭게 다듬어라. 6. 명백한 약점에 대한 우려를 효과적으로 언급하라. 7. 공백기간을 잘 설명해라. 8. 직무유관 경험이 없다면 지원직무와의 관련성을 분명하게 보여줘라. 9. 훌륭한 마무리 코멘트나.. 더보기 [면접컨설팅] 면접에서 1분 자기소개 잘하는 방법 면접에서 1분 자기소개 잘하는 방법 1분 자기소개를 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째, 스토리텔링 방식입니다. 지원직무와 인재상에 매치되는 자신의 차별적인 경험담을 재미 있게 이야기하는 것만으로, 지원직무에 매우 적합한 지원자라는 첫인상을 심어 준다면 최고의 방법입니다. 둘째, 키워드 방식입니다. 지원직무와 인재상에 매치되는 자신의 강점을 두세 가지로 압축하여 중요도에 따라 강조하는 방식입니다. 경험담을 활용하는 스토리텔링 방식이 힘든 경우 주로 사용하는 1분 자기소개 방식입니다. 셋째, 인용 방식입니다. 모두 알고 있는 명언이나 사실 등을 인용한 후 이에 자신을 견주어 지원직무에 매치 시키는 방식입니다. 전달하고 싶은 의미를 부각시키기 좋은 방법이기에 잘 활용하면 효과적입니다. 취업.. 더보기 [면접컨설팅] 면접에 적용되는 '지식의 저주' 두드리는 사람과 듣는 사람 : 지원자와 면접관 120 곡 중에서 단 3곡만 알아 맞히다 운전에는 사각지대가 있습니다. 초보시절에는 사각지대에서 툭 튀어나오는 오토바이나 차량 때문에 누구나 당황하게 됩니다. 그런데, 면접 초보자에게도 사각지대가 있습니다. 칩 히스 교수가 쓴 '스틱'이라는 책에는 '지식의 저주'라는 말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일반 사람들보다 세 걸음쯤 앞서서 얘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면 상대방이 전혀 이해를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사람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한 그룹의 사람들에게 120개의 노래를 하나씩 골라 테이블을 두드리도록 했습니다. 다른 그룹은 그 소리를 듣고서 노래의 제목을 맞히는 실험이었습니다. 두드리는 사람들은 상대방이 노래를 50% 정도는 알아 맞힐.. 더보기 [취업컨설팅] 취업의 최대 적(敵)은 '두려움' 최고의 보물은 ‘젊음’이라는 가치 최대 적(敵)은 두려움 우리의 삶은 다람쥐 쳇바퀴 돌듯이 굴러갑니다. 쳇바퀴를 벗어나 자유롭게 사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2~3% 밖에 되지 않는다는 통계가 있더군요. 그러나 아직 절망하지 마세요. 여러분은 고작 20대, 많아야 30대 초반일 뿐입니다. 앞으로 살아갈 날이 70~80년 남아 있습니다. 사람들이 나이 들면서 가장 부러워하는 건 젊음이지요. 하지만 50대, 60대도 슬퍼할 필요가 없습니다. 30~40년이라는 긴 시간이 아직도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세 가지 스승을 만납니다. 만일 일생을 통하여 세 가지 스승을 만나지 못했다면 그 만큼 삶을 소홀히 한 셈이지요. 우리가 만나게 되는 스승은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 놓으며 삶의 변곡점을 제.. 더보기 [취업컨설팅] 면접에서 탈락하는 이유는? 강력한 차별성은 무엇인가? 모든 취업은 자신만의 특별한 강점으로 통한다 [1] 스펙은 면접에 유효하지 않다 모든 취업은 스펙으로 통하지 않습니다. 취업은 지원기업과 직무에 적합한 ‘자신 만의 강점’으로 통합니다. 채용기업은 일 잘하고 조직에 잘 부합되는 인재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모든 취업에 통하는 것은 직무적합도와 조직적합도입니다. 이에 대한 유관경험이 있으면 유리하지만, 경험이 없더라도 본인이 일 잘하고 조직에 적합한 인재라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다면 모든 취업에 통할 수 있습니다. 모든 취업에 통할 수 있는 직무적합도, 조직적합도 관련 자신의 강점은 무엇인지요? 기업이 본인을 채용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정상(Normal)을 뛰어넘는 특별한 강점이 모든 취업에 통합니다. 이것을 '차별성'이라고.. 더보기 [삼성 면접컨설팅] 삼성 면접 대비 취업컨설팅 접수(ASAP) 삼성 에세이 첨삭 및 면접 대비 1:1 취업컨설팅 접수 접수기간 : 4/26(토)~ASAP 삼성 면접, 소리 없는 강자….한국취업코칭센터 김호종 쌤 수년 간의 삼성 자기소개서, 에세이 첨삭과 면접컨설팅으로 삼성 합격자를 배출해 왔습니다. 삼성에 가장 강한 면접컨설팅. 이제 때가 되었습니다. 만나보세요! [1] 삼성 면접컨설팅 프로그램 유형 에세이 첨삭컨설팅 1:1 면접컨설팅 (1회=3시간, 모의면접 심층연습) 가격 1회 2회 3회 4회 5회 삼성 면접컨설팅 Limited ● ● ● ● 100만원 삼성 에세이 첨삭 ● 30만원 삼성 면접컨설팅 Standard ● ● 60만원 삼성 면접컨설팅 Plus ● ● ● 80만원 삼성 면접컨설팅 Special ● ● ● ● 100만원 삼성 면접컨설팅 Beyond ● .. 더보기 [취업컨설팅] 면접은 전략이다! 면접은 전략이다 당신은 채용기업에 어떤 가치를 어필할텐가? 나이키에 가면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우리가 파는 것은 신발이 아니라 ‘승리’다” 한국취업코칭센터에 가면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우리가 파는 것은 컨설팅이 아니라 ‘취업’이다” 우리는 고객에게 상품이나 서비스가 아니라 가치를 팔아야 합니다. 여러분은 입사를 희망하는 기업에게 어떤 가치를 팔려고 하나요? 특히 면접장에서는 자신의 어떤 가치에 초점을 맞출텐가요? 명문대학 출신이고 스펙이 우월하다면 일 잘할 수 있는 ‘똑똑함’을 팔아야 합니다. 그런데 스펙이 불리하다면 무엇을 팔 것인가요? 면접은 컨셉입니다. 면접은 본질입니다. 면접은 전략입니다. 취업의 마지막 관문인 면접에서는, 이 세 가지 관점을 이해한 후 심층연습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심층연.. 더보기 [상반기공채] 면접관에게 공감을 얻는 비법 면접관에게 공감을 얻는 비법 일을 잘하고 신뢰감을 주는 사람 면접이 취업의 승부처입니다. 10여 차례 면접에서만 탈락하는 지원자가 있는 반면에 단 한번의 면접기회에 최종 합격하는 지원자도 있습니다. 상대성이라는 변수가 있지만 모든 취업단계는 면접에서 합격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즉, 자기소개서부터 면접을 겨냥하여 차별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그런데 면접관은 어떤 지원자에게 호감을 느낄까요? 기본적으로 지원직무를 잘 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아야 하지만, 그 다음의 운명을 가르는 것은 믿을 수 있는 사람입니다. 조직적합도가 뛰어나다, 인성이 좋다 등등은 모두 높은 신뢰감을 준다는 의미입니다. 어떻게 해야 면접관들에게 공감을 주면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요? 면접에서 계속 탈락하는 이유는 자신의.. 더보기 [취업컨설팅] 면접에서는 강점으로 승부하라 삶을 지배하는 20:80법칙 강점에 집중해야 성공할 수 있다 면접에서는 자신의 강점으로 승부하라 조직과 개인은 보유한 자원 또는 역량이 제한되어 있기에 자원(역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만 최고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20%가 80% 비중을 차지한다는 20:80법칙(파레토법칙)이 우리의 삶을 지배합니다. 취업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100대 1이 넘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는 평범을 뛰어넘는 비범함으로 무장해야 이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자신의 강점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직무와 기업에 지원해야 합니다. 나아가 면접에서는 자신의 강점으로 직무적합도와 조직적합도에 포커싱해야 합니다. 특히 자신의 강점을 일관성 있게 강조하고 부각시키며 경쟁자들을 뛰어넘는 강렬함으로 면접관의 공감을 얻어야 승..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