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승계원칙을 깬
상식을 깨는 배포좋은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
초심으로 돌아가자
세기적인 경기 불안이 시작되었습니다.
오랜 기간 잠복되어 있던 과오들이 한꺼번에 표면화되고 있습니다.
정치와 이념을 떠나 세계 경제는 이미 국경없이 넘나들고 있기에 어느 국가도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어려운 시기는 자본을 가진 자에게는 기회를 주지만, 경제적 약자에게는 시련을 줍니다.
하지만 소수의 경제적 강자와 다수의 경제적 약자로 구성되는 사회는 불행합니다.
경제적 강자들 또한 사회적 불안과 다수의 불행으로부터 차단되지 않습니다.
아무리 궁궐 같은 저택을 지어서 개인적 행복을 추구하더라도 사회 전반의 불운은 높은 담마저 넘게 됩니다.
사회와 국가가 안전하게 존립해야 부자의 행복과 자유가 유지되는 거지요.
그래서 노블리스 오블리제라는 ‘의무 아닌 의무’가 강조되는 것입니다.
기업가의 목적은 기업을 통한 개인 이익의 추구입니다.
아울러 사회에 대한 기업가의 의무도 가져야 합니다.
당연히 기업가는 기업을 발전 시키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덕목입니다.
기업 발전을 통해서 고용을 창출하여 종업원들에게 소득을 배분하는 것 자체가 사회에 대한 큰 기여이지요. 아울러 재력이 생기면
국내 재벌들은 법정에 설 때면 몇 백억, 몇 천억, 심지어 1조원의 사재를 사회 환원하겠노라고 발표합니다. 우리에게는 정치적이며 인위적인 단발성 선심(善心)으로 비춰지지요.
적더라도 평소에 꾸준히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실천한다면 훨씬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富를 축적한 기업가들은 넘치는 욕심을 경계해야 합니다.
넘치는 富를 경제적 약자에게 이식하는 노블리스 오블리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이웃에 관심을 가지고, 열정을 가진 기업가 정신을 후원하고, 꿈이 있는 곳에 투자하고,
아픔이 있는 곳에 기부하고, 미래를 이끌 후진들의 구루가 되어야 합니다.
조세 포탈 혐의로 사재 1
장자 승계원칙을 깨뜨린 당신의 初心이 그립습니다.
형들을 제치고 삼성그룹의 후계자가 된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시킨 기업가적 기여도는 높이 칭송 받아 마땅하지만,
초기에 가졌던 오블리스 노블리제에 대한 실천들은 얼마나 이루어졌을까요?
작년 말 항공기내 돌발 행동과 최근 세종증권 투자차익으로 또 다시 구설수에 오른 박연차 회장,
당신의 배짱 좋은 초심이 그립습니다.
2004년초 휠라 윤윤수 회장을 방문할 때 그에 대한 기사를 검색하던 중 박연차 회장를 알게 되었습니다.
상식을 뛰어넘는 박 회장의 담대함에 강한 인상을 받았었지요.
다음은 2003년 6월 한국일보에 연재되던 CEO들의 일화 중 휠라 윤윤수 회장이 쓴 글입니다.
윤 회장은 1990년 대초 부도위기에 몰렸다가 생면부지의 박연차 회장 도움으로 회생한 경험이 있지요.
박연차 회장은 윤윤수 회장에겐 잊을 수 없는 은인입니다.
(중략)
내가 인생의 은인으로 꼽는 또 한 사람은 태광실업 박연차 회장이다.
사업 초기 여의도에 사무실을 차리고 동분서주하던 무렵 갑자기 태광실업에 있던 후배에게서 전화가 걸려왔다.
“형, 우리 사장님이 한번 뵙자고 하는데요.”
‘일면식도 없는 사람이 왜보자고 했을까.’
자금 압박에 시달리고 있던 시절이라 혹시나 하는 생각으로 당장 태광실업이 있던 부산으로 내려갔다. 부산 서면의 한 일식집에서 만난 박 회장은 뜻밖에도 봉투를 내밀었다.
“재주가 많은 분인데, 자금이 부족해 곤란을 겪고 있다고요. 아무런 조건 없이 주는 돈이니까 다른 오해는 마시고 사업에 보태 쓰십시오.”
직원들 월급 줄 돈도 없어 허덕거릴 만큼 목구멍이 포도청이었기 때문에 일단 염치 불구하고 받았다.
‘도대체 얼마나 될까’ 궁금해서 견딜 수 없었다.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화장실에 들어가 뜯어보니 5,000만원 짜리 당좌 수표였다.
당시 돈 5,000만원이라면 요새로 치면 10억원 정도의 가치를 지닐 만큼 거금이었다.
‘이 양반이 정신이 돈 게 아닌가.’
놀라움을 감출 수 없었지만, 어쨌든 이 돈을 발판 삼아 지긋지긋한 자금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만일 그 돈이 없었더라면 휠라 사업도 추진할 수 없었을 것이다.
물론 나중에 휠라 신발 공장 증설과정에서 태광실업에 사업을 제안, 태광실업도 몇 년 안에 신발업계 정상에 들어갈 정도로 고속성장을 했다.
훗날 박 회장을 만나 당시 받은 돈을 돌려주려고 했지만, 그는 “말도 안되는 소리”라며 돈을 받지 않았다.
특별한 조건을 달고 준 돈도 아니었고, 이미 나로 인해 자신의 사업도 큰 도움을 받았다는 이유였다.
그런데 여전히 의문이 남을 것 같다.
얼굴 한번 보지 않았던 박 회장이 왜 그렇게 많은 돈을 선뜻 내준 것일까.
마치 점술가처럼 나의 장래를 내다보고 득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었을까.
이유는 단순했다.
당시 태광실업 전무로 있었던 대학 후배 때문이었다.
“선배 중에 윤윤수라고 있는데, JC 페니와 화승을 거치면서 신발 비즈니스계에서는 알아주는 사람입니다. 요즘 자기 사업을 하느라 고생이 많다고 하던데요.”
역시 경영자는 아무나 하는 게 아닌 것 같다.
후배의 말 한마디에 박 회장은 나름대로 과감한 투자를 해서 큰 성과를 거둔 셈이다.
요즘도 만날 때마다 사업 선배로서 많은 것을 배우고 있다.
(